본문 바로가기

이용자 인권보장

c7559c788901da8352f860aa21a2aa8d_1623993951_04.jpg


[한국장애인인권포럼]장애유형별 통합 재난 매뉴얼_ 시각장애인

페이지 정보

담당자 작성일19-05-13 17:44 조회2,777회 댓글0건

본문

b5d4cd92509d0fb4b99290e63a3dc2c6_1557736960_3354.JPG
b5d4cd92509d0fb4b99290e63a3dc2c6_1557736962_4256.JPG
b5d4cd92509d0fb4b99290e63a3dc2c6_1557736966_9505.JPG
b5d4cd92509d0fb4b99290e63a3dc2c6_1557736970_797.JPG


1. 시각장애

 1) 재난 시에 어려운 것

  - 재난의 상황과 알림 등이 TV로 전달되어도 영상과 문자만으로 확인 불가능합니다.

  - 그러므로 재난정보를 받는 것이 늦어지거나, 전달을 전혀 받을 수 없습니다.

  - 주위의 재난 상황을 판단할 수 없어 대응이 늦어집니다.
  - 이동이 어렵고, 혼자서는 대피할 수 없습니다. 걷는 것이 익숙한 장소에서도 상황이 변하면 이동을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2) 평소의 준비

   (1) 본인의 준비

  - 평소에 이웃과 대화나 소통이 중요합니다. 특히 혼자 사는 경우 과거의 재난사례를 보면 우선적인 지원은 지자체의 도움이 아닌 이웃 사람의 도움이었습니다.

  - 라디오 등 음성으로 재난정보를 얻을 수단을 준비해 둡니다. 라디오는 평소에 휴대하면 만일에 경우 도움이 됩니다.

  - 미리 지정된 대피소와 피난 경로를 확인해 둡시다. 지역의 방재 훈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합니다.

  - 지정된 대피소 외에 임시 대피소가 되는 학교, 공공시설 등의 장소도 확인해 둡니다.

  - 휴대 전화의 문자와 메일을 사용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됩니다.

   (2) 장애별 바람과 배려사항

  - 재난 시에 보호할 필요가 있는 사람에 대하여 지원제도가 있으면 적극적으로 등록하고, 대피할 때 지원을 받습니다.

  - 비상시 가지고 나갈 물건 중에 휴대 라디오, 흰 지팡이, 점자판, 기타 일상생활 도구를 포함해 둡니다.

  - 당뇨병, 녹내장 등으로 상비약이 있는 경우 등 의료기관의 연락처와 약의 이름 등을 기록해 둡니다.

  - 자신의 이름, 혈액형, 긴급연락처 등을 적은 '장애인 카드'의 휴대도 큰 도움이 됩니다.

   (3) 주위의 준비

  - 본인과 사는 가족이나 주위의 지원자와 재난 대응 회의를 열고 재난 시의 행동과 대비, 필요한 지원을 미리 논의합니다.

  - 가구의 넘어짐 방지나 비상용품의 준비 등 주변의 재난대비 대책에서도 시각 장애인은 지원이 필요합니다.

  - 지역의 대피훈련 등에 시각 장애인에게 말해 참가하도록 합시다.

  - 또한, 지역의 행사 등에서는 장애가 있는 사람이 쓰기 쉽도록, 베리어 프리 설계를 통해서 특별히 배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고령자나 장애인들고 살기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물리적, 제도적 장벽을 허물자는 운동으로 1974년 국제연합 장애인생활환경전문가회의에서 '장벽 없는 건축 설계'에 관한 보고서가 나오면서 건축학 분야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였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333건 20 페이지
이용자 인권보장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8 [장애인먼저실천운동본부]5차 장애인 권익증진 웹툰 담당자 05-14 2623
47 [한국장애인인권포럼]장애유형별 통합 재난 매뉴얼_청각장애 담당자 05-14 2595
46 [장애인먼저실천운동본부]4차 장애인 권익증진 웹툰 담당자 05-13 2814
열람중 [한국장애인인권포럼]장애유형별 통합 재난 매뉴얼_ 시각장애인 담당자 05-13 2778
44 [인권위원회]우리의 언어를 웃음거리로 사용하지 마세요 관리자 12-26 3579
43 [지식채널e]모든사람2부 차별의 발견 관리자 12-19 3454
42 [세바시]당신에게 장애인 친구가 없는 이유 관리자 11-29 3228
41 [국가인권위원회_인권웹진]우아한 삶의 권리를 변론하다-변호사 김원영 관리자 11-29 3255
40 [오마이뉴스]인권으로 꽃피는 나무 관리자 11-29 2968
39 [서울시청]우리가 몰랐던 이야기_또 다른 장애 관리자 11-15 2851
38 [서울시청]우리가 몰랐던 이야기_뇌전증장애 관리자 11-15 2819
37 [국가인권위원회]우리 아이들이 바로, 편견 없는 세상의 주인공입니다 관리자 11-13 2931
36 [에이블뉴스]장애인 휠체어 막무가내 탔다간 '평생 고통' 관리자 11-13 3142
35 [서울시청]우리가 몰랐던 이야기_정신장애 관리자 11-12 2999
34 [중앙권익옹호기관]알기쉬운 장애인학대_즉각적인 현장출동'벅차' 관리자 11-09 3008

dd





(49220) 부산광역시 서구 보수대로154번길 36 서구장애인복지관
전화 : 051-242-3930 | 팩스 : 070-8915-3972 | 대표메일: seogu4949@hanmail.net

Copyright © 2021 서구장애인복지관 All rights reserved.